본문 바로가기

경상도 여행

문익점 묘소

2024년 3월 22일

붓뚜껑과 목화씨를 떠올리면 생각나는 분. 우리나라에 목화를 처음 들여와  의생활과 섬유문화의 발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문익점"선생의 사적지를 찾아 봅니다.  사적지에는 문익점신도비,  도천서원, 신안사재, 묘소등이 있습니다.  경남 산청군 신안면 문익점로 34-32 외 4필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문익점사적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사적지 표지석 앞에 문익점 신도비각 과, 우측으로 문익점선생의 장남 시성숙공 부부 신단비 가 있으며, 문익점 신도비 는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신도비란 왕이나 고관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묘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문익점 선생의 공적을 적고 있다.
문익점(1329~1398)은 공민왕 12년(1363)에 서장관이 되어 원나라에 간 일이 있었는데, 당시 원나라에 와 있던 고려사람 최유가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을 왕으로 추대하고자 공민왕을 몰아내려 하였다가 최영에게 패한 일이 생겨, 문익점도 그 누명을 쓰고 귀국과 동시에 관직을 삭탈 당하였다. 귀국할 때 붓뚜껑 속에 목화 몇 송이를 숨겨와 정천익(장인)과 함께 시험재배를 하였으며, 3년간의 노력 끝에 성공하여 전국에 퍼지게 하였다. 비는 조선 순조 34년(1834)에 세운 것으로, 강화도에서 돌을 캐어 등짐으로 3년여를 옮긴 후 마을의 도로변에 세워놓은 것이라 한다.
문익점신도비에서 약 500미터를 걸어 들어가면 도천서원 홍살문 뒤로 문익전 선생의 동상이 있다.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충정공 문숙선의 아들인 삼우당 문익점(1329~1398)선생은 공민왕 9년(1390)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도천서원과 신안사재의 전경. 고려시대 문익점 선생의 연고지로, 1461년(세조 7)에 나라에서 선생을 추모하는 사당을 세웠다. 사당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중건되었으며, 1787년(정조 11)에는 도천서원이라고 사액을 받았다.
충선공 선조묘소 봉심기념비.
도천서원 묘정비와 도천서원 전경, 도천서원 정문 양덕문은 굳게 잠겨져 있어 직접 관람을 하지 못하고 담장밖에서 보는 수 밖에 없었다.
도천서원 정문 양덕문 안으로 도천서원 강당 시경당이 보인다. 1401년(태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문익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도천서원의 동재
신안사재 와 추원문이 있는 문간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조선후기 향촌사회와 서원 건축형식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신안사재는 문익점의 향사 때 제관들의 숙소로 사용하던 건물로, 1551년(명종 6)에 창건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804년(순조 4)에 중건한 것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집이다. 건물 앞쪽에 마루를 두고 개방하였으며, 정면 좌우측에 각 1칸 크기의 마루를 두었다.
사당인 삼우사
문인점 선생 묘소로 가는 임도길은 은근히 오르막이다.
직감적으로 상당히 공들인 묘소로 문익점 선생의 묘다.
산청 삼우당 문익점 묘소 는 1983년 8월 24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66호로 지정되었다. 묘소는 사각형의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앞에는 상석과 비석이, 좌우에는 문인석과 망주석, 석등이 세워져 보존되고 있다. 묘소는 비교적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어 고려시대 묘제 연구에 좋은자료다.

'경상도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원사 계곡길  (20) 2024.05.06
함양 남계서원  (18) 2024.04.04
충익사  (16) 2024.04.02
정암루  (11) 2024.04.02
의령 탑바위  (18)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