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 법성포는 불자들에게는 백제 불교의 최초 도래지로도 알려진 곳입니다.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먼 옛날 백제에 처음 불교를 알린 것을 기념해 조성된 곳입니다. 이국적인 건물들은 그 옛날 백제 불교의 역사와 숨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불법이 들어온 성스러운 포구라는 전남 영광의 법성포입니다. 법성포는 백제 시절 지명은 아미타불의 의미를 함축한 아무포였답니다. 그래서인지 신령스러운 빛의 고을이라는 영광의 지명까지도 불교와 연관짓는 이들이 있답니다.백제불교최초도래지의 일주문 역할을 하는 간다라 양식을 따라 만들어진 상징문입니다.상징문 안으로 들어 가면 간다라 유물관, 탑원, 사면대불상 등은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합니다. 우측에 세워진 `아소카 석주`끝에는 사자가 사면대불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백제의 불교는 인도 간다라 지방의 승려 마라난타 가 384년,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 남조 동진에 들어왔습니다. 이후 바닷길을 거쳐 이곳 법성포에 도착합니다. 당시 백제를 통치하던 침류왕은 마라난타를 궁궐에 머물게 하고 설법의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마라난타가 전한 불법은 백제 통치자들을 거쳐 일반 백성들에게 퍼져나갔습니다. 이것이 바로 백제 불교의 시작입니다.바다를 접하는 지점에 있는 정자, 존자정 안에는 범종이 있으며, 정자안으로 출입이 허용되는가 봅니다. (존자는 부처의 제자를 높여 부르는 말)홍교를 건너 만다라광장을 지나서 사면대불상까지 가보겠습니다. 계단은 총 108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만다라광장을 지나서 부용루로 오르는 계단입구에 양쪽발바닥이 보입니다.석가모니 부처님 반신상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모습을 조각한 불상으로 간다라 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조성되었습니다. 부처님 몸에 갖춘 보통 사람과 32가지의 상호 중 발바닥의 형상을 조각한 것으로 법륜과 만자 그리고 불법승 삼보를 상징하는 삼보표가 새겨져 있으며 전법의 상징이기도 합니다.부용루는 참배 및 서해 조망용 누각으로서 1층 석벽에는 간다라 양식의 불전도 부조 조각이 23면에 걸쳐 부처님의 전생 인연담과 일대기가 생동감있게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부용루 2층 누각에는 참배 및 주변을 조망을 할수 있습니다.부용루 뒷쪽 계단앞에서 부터 출입이 통제되고 있습니다. 사면대불상은 공사중이랍니다.23.7m 높이의 사면대불상은 4방향에 마라난타 존자, 좌우보처로 관음과 세지보살이 있으며, 주존불인 아미타불이 정면에 있습니다.탑원은 불탑과 감실형 불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감실형 불당은 불상과 소탑을 봉안하는 감실로 중앙탑을 바라보며 승려가 수행하던 작은 굴이라고 한다.유물관은 낯선 외관을 뽐낸다. 이는 대승불교 문화가 시작한 간다라지역의 건축양식이다. 간다라는 현 재 파키스탄과 인도 서북부 일대로 불교미술이 크게 발전한 지역이자 마라난타가 태어난 곳이란다.중국에서 불교를 전래 받은 고구려·신라와 달리 백제는 인도승인 마라난타 존자를 통해 불교를 전래받아 완전히 다른 양식으로 받아들였다.간다라 유물전시관의 유물들은 모두 파키스탄 대사관의 협력을 얻어 건너온 것이란다. 스와트, 페샤와르, 탁실라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간다라 불교문화에 대한 실명과 실제 2~6세기쯤 소조불상불두들과 전각 등 석조 문화재들이 있어 간다라 양식을 살필 수 있다.백제불교의 시조와 경로를 상세하게 안내하여 놓았다.간다라지역에서 출토된 불상 등이 전시돼 있다.중앙에 사리소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여 모시는 탑이다.이색적인 풍경을 지닌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 영광 법성포를 둘러 보았습니다.